고양시의회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김미수를 비롯한 민주당 시의원들이 3월 22일(수) 고양시의회 4층 영상회의실에서 23년 1차 추경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했다.
더불어 민주당의원들은 이동환시장의 독단적인 예산편성과 경기도에서 내려오는 것으로 경기도 31개 시군이 전부 시행하는 고양페이, 아동보호시설 호봉제 등을 하지 않는 것에 맞서 본예산 심사 보이콧을 단행하여, 몇가지 예산을 지켜냈다고 밝혔다.
김미수 의원은 “앞으로도 해야 할 것들이 많다”며 “시민을 위해 하나씩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것이 의원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앞으로도 시장과 소통하며 시민들을 위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고양특례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성명서 전문
더불어민주당은 오직 시민의 편에서 함께 할 것입니다.
지난 12월, 2023년도 고양특례시 본예산안이 의회에 제출된 이후 더불어민주당 고양특례시의원 일동은, 정무적 판단만으로 민생 예산을 무자비하게 삭감한 이동환 고양시장의 편협함을 지적하며 편성되어야 마땅한 예산의 반영을 요구한 바 있다.
오직 시민만을 바라본다고 천명한 이동환 시장의 외침처럼, 민주당이 요구한 예산안은 민주당을 위한 것이 아닌 시민들의 절박한 목소리에 함께 하기 위함이었다.
그 결과, 주민자치회 운영지원, 소상공인 시설개선 지원, 대학생 본인부담 등록금, 아동보호시설 호봉제 도입 예산이 이번 추경예산에 포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환 시장이 제출한 추경예산안은 처참한 수준이다. 자치공동체지원센터, 평가제 우수 어린이집 처우개선비, 대안교육기관 지원, 지방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거점평생학습센터 지정 운영, 평화통일 교육전시관 운영, 문화예술교육 등을 편성하지 않으며 고양시민의 목소리를 외면했다.
또한 LNG 수입가격 상승 등으로 난방비 폭탄을 맞은 고양시민의 부담을 절감하기 위해 33명의 고양시의원이 난방비 지원 촉구 건의안을 제출하기도 했지만, 관련 예산을 전혀 편성하지 않았다.
시민만 바라보겠다던 고양시장은 어디있는가? 고양특례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동은 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요구할 것이며, 이동환 시장은 전향적으로 검토하기를 촉구한다.
2023. 3. 22. (수) 고양특례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동 <저작권자 ⓒ 사회적경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