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가치연구소 배성기 소장은 12일(수), 충청남도 인재개발원 교육동 1층 102강의실에서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신규 종사자 30여명을 대상으로 ‘공공기관의 사회적책임(ESG)경영’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사회적책임(ESG)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등과 더불어 국내 및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종사자들이 사회적책임(ESG)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육은 크게 1. 국가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2. 정부 사회혁신 정책, 3. 국내·외 기관 혁신사례, 4. 공공기관 혁신 방향의 목차로 구성됐다.
배성기 소장은 ESG란 무엇인지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도시혁신 사례를 살펴보고, 국가와 도시의 문제를 ESEG(경제: Economy, 사회: Social, 환경: Environment, 거버넌스: Governance)의 지속가능 경영의 패러다임으로 바라보아야 함을 설명했다. 또한 정부외에 공기업, 기업, 지자체, 시민사회의 실행 사례를 소개했다.
먼저 인천공항공사를 ESG 경영 우수사례로 소개하며, ESGI(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Innovation)의 프레임 하에서 조직경영 및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SK기업 사례를 통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DBL 경영전략은 애해관계자들의 행복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와 관련한 성과를 목표로 경영하는 것으로, 이러한 비 재무적활동이 어느정도 체감된 임팩트가 있는지를 화폐가치로 전환여 국민에게 알리는 것은 국내 공공기관에게 시사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들도 공익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사회적책임 경영과 임팩트 영향평가를 통한 혁신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책사례로 영국 Public service(social value) Act와 영국 런던의 지속가능경영 사례를 소개했다. 영국은 공공서비슬 공급하는 모든 기관은 효율적 가치(Best Value)와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균형을 추구하면서,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후생을 고려하여 공공서비스를 공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영국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분야의 지역 이니셔티브(의제)와 연계하여 정부, 공기업, 기업,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협력적 도시경영 프레임을 설명하면서 국내의 주는 시사점을 설명했다.
이어 신뢰 사회 구축을 통한 사회적 자본 축적에 관해 설명하면서 사회적 자본 축적을 통한 사회적책임(ESG)경영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사회적 신뢰를 기반으로한 공공기관의 ESG 경영과 유관 기업의 사회공헌 협력사업을 통해 지역내 사회적 임팩트 사업들이 추진되어함을 강조했다.
협력적 국가·협력적 도시경영은 사회적 신뢰에 기반한 협력적 거버넌스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협치, 기업과 시민사회 간의 사회적 책임, 정부와 기업 간의 동반성장을 통해 사회적책임경영인 ESG 경영이 한층 더 활성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부의 사회혁신 정책에 관련해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K-ESG 가이드라인’,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환경정보공개시스템’, ‘2023 환경정보 공개보고서’,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충청남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 한국형 사회적책임(ESG) 경영 관련 주요 추진계획과 활동 등을 소개했다.
이어 공공기관 경영혁신과 사회적 책임 성과 창출 방안에 대해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혁신네트워크 구축과 기관 내·외부 혁신과 개인 혁신을 통해 실제 업무 적용을 통한 혁신성과 창출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030’를 부가설명하며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 지표 및 이행평가 연구’에서 제시된 경제, 사회, 환경 분야 지속가능발전 지표의 목표 달성도를 확인함으로써, 충청남도 맞춤형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정책 제언 및 평가 개선 방향을 살펴본 후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 관내기업, 그리고 지방공공기관과의 협업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책임(ESG)경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선 성과를 증명하고 설명할 수 있는 임팩트 측정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측정 방법으로 사회투자수익률(SROI 기법)이나 비용편익 분석(CBA) 등을 활용해 정확한 임팩트(Impact) 측정하여,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 및 ESG 경영 성과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공급방식으로의 전환을 유인하는 것이 사회적 책임(ESG)경영의 본질임을 강조했다.
공공서비스 이용자들의 체감된 삶의 변화가 이루어 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공공서비스 임팩트(Impact) 평가가 필수적이라는 설명을 끝으로 강의를 마무리했다.
한편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경제, 사회적 가치, 사회적 책임조달, 공공기관 우선구매, 사회적 책임(ESG)경영 교육을 실시해 공무원 및 공공기관, 비영리기관 등을 대상으로 공동체 편익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기관이다.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책임(ESG)에 대한 임팩트 구현, 평가, 측정 방법을 모색하고 관련 사례 교육을 진행 중이며 기관 맞춤형 교육 콘텐츠로 방문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사회적경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